자기진단 < 학생상담센터 < 지원기관 < 서울예술대학교
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서울예술대학교

지원기관

현장중심의 창작지향 교육, 서울예술대학교
지원기관 정보입니다.

  • home
  • 지원기관
  • 학생상담센터
  • 자기진단
  • 우울

자기진단

우울

아래에 있는 항묵들은 지난 일주일 동안의 당신의 상태에 대한 질문입니다. 그와 같은 일들이 지난 일주일 동안 얼마나 자주 일어났었는지 답변해 주십시오.
우울 자기진단 검사

(1일 이하 : 0점, 1~2일 : 1점, 3~4일 : 2점, 5일 이상 : 3점)

우울
번호 지난 일주일간 나는 1일 이하 1 ~ 2일 3 ~ 4일 5일 이상
1 평소에는 아무렇지도 않던 일들이 괴롭고 귀찮게 느껴졌다.
2 먹고 싶지 않고, 식욕이 없었다.
3 어느 누가 도와준다 하더라도, 나의 울적한 기분을 떨쳐 버릴 수 없을 것 같았다.
4 무슨 일을 하든 정신을 집중하기가 힘들었다.
5 비교적 잘 지냈다.
6 상당히 우울했다.
7 모든 일들이 힘들게 느껴졌다.
8 앞 일이 암담하게 느껴졌다.
9 지금까지의 내 인생은 실패작이라는 생각이 들었다.
10 적어도 보통 사람들만큼의 능력은 있었다고 생각한다.
11 잠을 설쳤다(잠을 잘 이루지 못했다).
12 두려움을 느꼈다.
13 평소에 비해 말수가 적었다.
14 세상에 홀로 있는 듯한 외로움을 느꼈다.
15 큰 불만없이 생활했다.
16 사람들이 나에게 차갑게 대하는 것 같았다.
17 갑자기 울음이 나왔다.
18 마음이 슬펐다.
19 사람들이 나를 싫어하는 것 같았다.
20 도무지 뭘 해 나갈 엄두가 나지 않았다.

 

채점결과

채점결과
0 ~ 15점 때때로 일상적인 경험으로 인해 기분이 나빠질 수 있지만, 우울한 상태는 아닙니다. 기분좋은 일을 하면서 기분을 전환해 보세요.
16 ~ 20점 살짝 기분이 가라앉아있는 상태입니다. 현재 심각하게 우울한 상태는 아니지만, 이러한 기분이 지속되거나 더 악화된다면, 전문적인 도움을 찾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21점 이상 임상적인 수준에서 우울증을 의심해볼 수 있는 상태입니다. 전문가와 의논을 통해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. 교내 심리상담소, 혹은 정신건강의학과등 전문 기관을 방문할 것을 권고합니다.

※ 출처 : 조맹제, 김계희(1993): 중요우울증 환자 예비 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(CES-D)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. 신경정신의학 32: 381-399